*** 최근 업데이트: 2025.08.19
본 게시글은 투자를 권유하는 글이 아니고, 단순 종목 스터디 게시글이며, 모든 투자에 대한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 컨텐츠 요약:
[0] 기본 정보
[1] 뭐 하는 회사?
[2] 간단한 회사 연혁
[3] 주력 사업 및 제품
[4] 산업 내 위치 & 경쟁사
[5] 최근 뉴스 & 현재 상황
[6] 전망 & 투자 포인트
[7] 지표 흐름 & 오피니언
[8] 애널리스트 의견
[8] 25년 2분기 주주서한 요약
#0. 기본 정보
📌 회사명: 조비 에비에이션 (JOBY AVIATION)
📌 상장(티커): 나스닥(JOBY)
📌 주가: $ 16.06
#1. 조비 에비에이션, 뭐 하는 회사?
📖 관련뉴스:
조비, 공항 간 첫 에어택시 시험비행 성공..."상용 서비스 임박"
하이브리드 'eVTOL' 등장···UAM 시장, 지각 변동 예고
ANA-조비, 일본 하늘에 '플라잉 택시' 띄운다…100기 이상 도입 추진
::: 조비 마리나 공항 -> 몬테레이 공항 이동영상 :::
https://youtu.be/BDNo3VYiOcs?si=ufne3_qE35NKMQJ_
JOBY Aviation은 미래 도시 항공 모빌리티(UAM)를 이끄는 선두주자예요.
-
쉽게 말해, 전기 수직 이착륙 항공기(eVTOL)를 만들어 '하늘 택시'를 실현하려는 회사죠.
(eVTOL = Electric Vertical Take Off and Landing)
-
마치 Uber를 타듯 앱으로 예약하고, 교통 체증 없이 도시를 날아다니는 세상을 꿈꿔요. 저도 어렸을 때 미래를 생각하면서 그렸던 그림에 비슷한 게 있었던 것 같아요.
-
-
나스닥에 상장(티커: JOBY)된 이 회사는 2025년 8월 기준 시가총액 약 5조 원 규모로, 글로벌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어요.
-
10년 이상 eVTOL 개발에 매진하며 안전과 혁신을 강조하는 기업으로, 최근 FAA 인증 과정에서 큰 진전을 보이고 있어요.
-
이 글에서는 연혁부터 최근 뉴스, 사업, 전망, 그리고 추가로 경쟁사 비교까지 다뤄볼게요.
-
미래 항공모빌리티에 관심 있는 투자자라면 필독!
#2. 간단한 회사 연혁
JOBY Aviation은 2009년 JoeBen Bevirt가 창립한 이래 eVTOL 개발에 집중해 왔어요.
-
초기에는 프로토타입 항공기 개발로 시작해 30,000마일 이상의 비행 테스트를 쌓았죠.
-
2016년부터 Toyota와 파트너십을 맺으며 기술력을 강화했고, 2021년 SPAC 합병으로 나스닥에 상장됐어요.
-
2023년부터 FAA 인증 과정(5단계 중 3단계 완료)을 밟으며 상업화 준비 중입니다.
-
2025년에는 첫 conforming aircraft 조립과 TIA(형식 검증 검사) 비행을 앞두고 있어요.
-
경영 이념은 '안전하고 조용한 항공 모빌리티'로, 고령화와 도시화 추세에 맞춘 혁신을 추구해요.
#3. 주력 사업 및 제품
JOBY의 주력은 eVTOL 항공기 개발과 전기 에어 택시 서비스예요.
-
핵심 제품은 4인승 eVTOL 항공기로, 최대 속도 200 mph, 비행 거리 150마일, 소음 수준은 헬리콥터의 1/100 수준이에요.
-
사업 모델은 수직 통합: 항공기 제조부터 운영, 앱 기반 라이드셰어링까지 직접 관리해요.
-
이는 경쟁사와 차별화된 점으로, Toyota의 제조 노하우를 활용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었어요.
-
-
추가로, ESS(에너지 저장 시스템)와 로봇 기술도 탐구 중이지만, 핵심은 UAM(도시 항공 모빌리티)입니다.
-
마치 '하늘의 Uber'처럼, 앱으로 예약하고 도시 내 이동을 혁신하려 해요.
#4. 산업 내 위치 & 경쟁사
JOBY Aviation은 현재 산업 내 가장 빠른 진척을 보이고 있어요.
-
주가는 2025년 초부터 233% 상승하며 시장 신뢰를 얻었고, 위치적으로는 미국(캘리포니아·오하이오 생산 시설)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요.
조비와 경쟁사들을 비교해 볼게요.
Joby Aviation (JOBY)
+ 주요 제품: 4인승 eVTOL (200 mph, 150마일 범위, 조용함 강조)
+ 강점: Toyota 제조 지원, FAA 3단계 완료, 국방·민간 다각화
+ 약점: 높은 현금 소모, 아직 매출 없음
+ 시장 위치: 선두 (인증 선도, 주가 233% 상승)
Archer Aviation (ACHR)
+ 주요 제품: Midnight eVTOL (150 mph, 100마일, 12 로터)
+ 강점 (vs 조비): United Airlines 파트너십, 아부다비·LA 네트워크
+ 약점 (vs 조비): 인증 지연 가능성, 생산 규모 작음 (2025 250대 목표)
+ 시장 위치: 강력 경쟁자 (주가 변동성 크지만 국제 시장 강점)
Lilium (LILM)
+ 주요 제품: Lilium Jet (제트 엔진, 187 mph, 124마일)
+ 강점: 유럽 중심 (EASA 인증), 고속·장거리 특화
+ 약점: 배터리 대신 제트라 비용·소음 문제
+ 시장 위치: 유럽 리더 (2025 인증 목표, Azul 200대 주문)
Ehang (EH)
+ 주요 제품: EH216-S (자율 비행, 80 mph, 21마일)
+ 강점: 중국 CAAC 인증 완료, 자율성 강점
+ 약점: 범위·속도 제한, 서구 규제 미완
+ 시장 위치: 아시아 선두 (2025 상업화, AirX 50대 주문)
Vertical Aerospace (VX4)
+ 주요 제품: VX4 (150 mph, 100마일)
+ 강점: 영국 기반, Rolls-Royce 파트너십
+ 약점: 개발 지연, Honeywell 협력 초기 단계
+ 시장 위치: 영국 중심 (2025 인증, Bristow 50대 주문)
#5. 최근 뉴스 & 현재 상황
2025년 8월 JOBY는 역사적 이정표를 세웠어요: 첫 piloted eVTOL 비행을 두 공항(Marina와 Monterey) 간에 성공적으로 마쳤어요!
-
이는 FAA 통제 공역에서 상업 항공기와 함께 비행한 첫 사례로, 상업화의 신호탄이죠.
-
Aspen Avionics와 GPS 통합도 발표됐고, 다음과 같이 아시아·중동 시장을 공략하고 있어요.
- 두바이에서 첫 상업 비행(2026년 목표)
- 일본 ANA와 100대 배치 합의
- 사우디 200대 잠재 판매
-
국방 부문(L3 Harris 협력)과 Blade 인수로 다각화된 포지션을 강화하고 있어요.
-
Q2 재무: 현금 소모 500-540M 달러 예상, 매출은 아직 없지만(개발 단계) 주가는 270% 상승 후 최근 -3.46% 하락(8월 18일 기준).
-
X(트위터)에서도 비행 성공 뉴스가 화제예요.
-
#6. 전망 & 투자 포인트 & 리스크
2025년-2026년은 JOBY의 '대박 해'가 될 수 있어요.
-
FAA 인증 4-5단계 완료와 상업 비행 시작 목표로, 첫 conforming aircraft 비행 예정이기 때문이죠.
-
수익 전망: 2025년 620만 달러, 2026년 8천만 달러, 2027년 2억 1,730만 달러로 폭발적 성장 예상이에요.
-
장기적으로 eVTOL 시장(2030년 1조 달러 규모)에서 선점 우위, 일본·미국 시장 확대가 키포인트라고 해요.
-
한국도 K-UAM이라고 이름 붙이며 관심 가지고 있는 것 같긴 한데, 규제의 나라 한국에서 항공교통수단이 발전하기 쉽지 않아 보이네요.
관련 뉴스: 2025 'K-UAM 콘펙스' 11월 개최... 미래항공교통 가능성 엿본다
-
🟢 투자 포인트:
- FAA 인증 진척과 상업화 임박: 2025년 8월 기준, JOBY Aviation은 FAA 인증 5단계 중 3단계를 완료하고 4-5단계로 진입 중입니다. 첫 conforming aircraft 비행(2025년 예정) 성공 시 상업 비행이 가시화되어, eVTOL 시장 선점 우위를 확보할 가능성이 높아요.
- 강력한 파트너십: Toyota와의 제조 협력, ANA Holdings와의 일본 시장 진출, L3 Harris Technologies와의 기술 협업은 기술력과 자금 지원을 강화해요. 특히 Toyota의 제조 노하우는 비용 경쟁력을 높일 전망입니다.
- 성장 잠재력 높은 시장: eVTOL 시장은 2030년 1조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JOBY는 조용하고 안전한 기술로 차별화된 입지를 구축 중이에요. 도시화와 교통 체증 문제 해결 수요가 뒷받침합니다.
- 최근 실적 및 관심 증가: 2025년 8월 Marina-Montery 간 piloted 비행 성공은 X에서 화제가 되었고, 주가는 270% 상승 후 조정을 겪었지만 긍정적 관심을 유지하고 있어요. 이는 시장 신뢰의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 혁신과 창업가 비전: 창립자 JoeBen Bevirt의 160개 이상 특허와 Stanford 출신의 공학적 배경은 기술 혁신을 보장해요. 그의 '교통 체증 없는 지속 가능한 항공' 비전은 장기 투자 매력 요소입니다.
🔴 리스크:
- 규제 지연 가능성: FAA 인증이 2025년 내 완료되지 않으면 상업화 일정이 늦어질 수 있어요. 규제 변화나 안전 문제로 인증이 중단될 위험도 존재합니다.
- 현금 소모와 자금 부족: 2025년 Q2 현금 소모가 500-540M 달러로 예상되며, 아직 매출이 없어 추가 자금 조달(주식 발행 등)이 필요할 수 있어 주가 희석 위험이 있습니다.
- 경쟁 심화: Archer Aviation(ACHR)과 Lilium(LILM) 등 경쟁사가 파트너십(United Airlines)과 제트 엔진 기술로 추격 중이므로, 시장 점유율 확보가 어려울 수 있어요.
- 시장 변동성: 미중 무역 긴장과 금리 변동(2025년 8월 기준 한국 기준금리 2.50%)으로 주가는 최근 -3.46% 하락했어요. eVTOL은 고위험 산업이라 변동성이 클 수 있습니다.
- 기술 및 운영 리스크: eVTOL의 배터리 효율성 문제나 기상 조건 의존성, 초기 운영 비용이 높아질 경우 수익성이 지연될 가능성이 있어요. 기술 실패는 회사의 신뢰를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 결론:
장기적인 관점에서 UAM 시장이 활발하게 발전할 것이라고 생각하시는 분은 시드의 10~20% 부분 매수, 하지만 지속적인 FAA 인증 상황에 대한 관망이 필요합니다.
#7. 지표흐름 & 오피니언
주당 순이익 (EPS)
매출
UAM 산업이 시작 단계이고, 조비 역시 제품이 상용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들쭉날쭉한 EPS와 어닝미스 실적은 당연하다고 생각됩니다.
-
현재 주가도 미래의 가치가 일부 반영되어 있다고 생각하고요.
-
차트 역시 단기 과열 후 조정 국면에 들어간 모습입니다.
-
급격히 상승한 차트 + 헤드 앤 숄더 패턴이라 지금 진입하기에는 부담이 좀 되네요.
-
당분간 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8. 애널리스트 의견
가장 최근 업데이트 된 내역은 8월 7일에 올라온 2건이네요.
- (하향) H.C. Wainwright = 매수 → 중립으로 변경
- (하향) Canaccord Genuity = 매수 → 홀딩으로 변경, 목표가 $17
#9. 25년 2분기 주주서한 요약
JOBY Aviation Q2 2025 Shareholder Letter 요약 (2025년 8월 6일 기준)
개요
JOBY Aviation은 전기 수직 이착륙 항공기(eVTOL) 개발 및 도시 항공 모빌리티(UAM) 상용화를 위해 중요한 진전을 이루며, 2025년 2분기 현금 및 단기 투자로 9억 9,100만 달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번 보고서는 규제 승인, 상용화 노력, 제조 확장, 재무 현황을 중심으로 요약됩니다.
주요 내용
- 규제 승인 진행
- FAA 인증 5단계 중 4단계에서 Joby 측 70%, FAA 측 53% 완료(2025년 8월 4일 기준). 첫 TIA-conforming 항공기 최종 조립 준비 중으로, 2026년 FAA 시험 비행 예정.
- 두바이에서 21회 전환 비행 성공, 110°F 고온 테스트로 열 관리 및 비행 역학 데이터 확보.
- 미국 드론 우세 행정 명령과 NASA/LAX 시뮬레이션, 5개국(NAA Network) 국제 인증 로드맵으로 규제 지원 강화.
- 상용화 노력
- 두바이 시장 준비: DXB 버티포트 2026년 1분기 완공 목표, 2026년 첫 승객 탑승 계획.
- Blade 인수: 2024년 5만 명 이상 운송한 Blade Passenger 사업 인수로 NYC 및 남유럽 시장 진입 가속화. ElevateOS 소프트웨어 통합으로 효율성 증대.
- 파트너십 확장: ANA와 일본에서 100대 이상 배치 합의, Abdul Latif Jameel과 사우디 200대(10억 달러) 잠재 판매 협력, L3 Harris와 국방용 가스터빈 항공기 개발(2025년 가을 테스트, 2026년 시연).
- 제조 확장
- 마리나(캘리포니아) 시설 43만 5천 평방피트로 확장, 연간 24대 생산 가능(기존 2배).
- 데이턴(오하이오) 시설은 연간 500대 생산 목표, Toyota 투자 2.5억 달러(5억 중 1차분 완료)로 품질·효율성 강화.
- 재무 현황
- 2025년 2분기 순손실 3억 2,470만 달러(운영손실 1억 6,790만 달러, 기타 손실 1억 5,670만 달러), 2024년 대비 2억 1,400만 달러 증가.
- 운영비 1억 6,790만 달러(주식 보상 2,660만 달러, 감가상각 980만 달러 포함), 현금 소모 2025년 5억~5억 4천만 달러 예상.
- 조정 EBITDA 손실 1억 3,160만 달러, 현금 및 단기 투자 9억 9,100만 달러로 안정적.
- 미래 전망
- 2026년 국방부 94억 달러 예산과 MOSAIC 규칙으로 무인 항공기 시장 기회 확대.
- Blade 인수와 파트너십으로 NYC, 일본, 중동 시장 선점, 장기적으로 2030년 1조 달러 eVTOL 시장 공략.
추가 정보
- 이벤트: 2025년 8월 6일 5:00 PM ET 웹캐스트, 주요 투자 컨퍼런스 참가 예정.
- 리스크: 규제 지연, 자금 소모, 경쟁 심화 등 상세 "Risk Factors" 참조(2025년 2월 27일 Form 10-K).
'주식 > 종목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목스터디] 뉴스케일파워 (SMR) (7) | 2025.09.09 |
---|---|
[종목스터디] 앱러빈/앱플로빈 | AI 광고 업계의 선두주자 | Applovin (APP) (12) | 2025.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