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컨텐츠 요약:
[1] 파월 연설 요약본
[2] CME 금리 인하 확률
[3] 발표 직후 자산들의 가격 변화
-
9월 금리 인하 여부를 짐작할 수 있는 파월의 연설에 모두의 초점이 쏠려있습니다.
아래는 FED 홈페이지에 올라온 파월 연설문의 요약입니다.
-
연설문 전문: https://www.federalreserve.gov/newsevents/speech/powell20250822a.htm
1. 현재 경제 상황 및 단기 전망
미국 경제는 올해 정책 변화 속에서도 회복력을 보였다. 연준의 이중 목표(최대 고용과 물가 안정) 관점에서, 노동 시장은 최대 고용에 근접하며 안정적이고, 인플레이션은 팬데믹 이후 최고치에서 많이 낮아졌으나 여전히 약간 높은 수준이다. 그러나 리스크의 균형이 변하고 있다.
- 노동 시장: 7월 고용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3개월 평균 일자리 증가가 월 3.5만 명으로, 2024년 평균 16.8만 명에서 크게 둔화했다. 실업률은 4.2%로 역사적으로 낮은 수준이며 안정적이다. 이민 감소로 노동 공급이 줄어들며 노동 시장의 균형이 유지되고 있지만, 수요와 공급 모두 둔화로 인해 고용에 대한 하방 리스크가 증가하고 있다.
- 경제 성장: 2025년 상반기 GDP 성장률은 1.2%로, 2024년 2.5%에서 절반으로 둔화했다. 이는 주로 소비 지출 감소 때문이며, 공급 성장 둔화도 영향을 미쳤다.
- 인플레이션: 관세 인상으로 일부 상품 가격이 상승하며, 7월 기준 PCE 물가는 2.6%, 핵심 PCE는 2.9% 상승했다. 주거 서비스 인플레이션은 하락 추세지만, 비주거 서비스 인플레이션은 2% 목표를 약간 상회한다. 관세로 인한 가격 상승은 단기적일 가능성이 높지만, 지속적인 인플레이션 리스크도 존재한다. 노동 시장이 타이트하지 않고, 인플레이션 기대가 2%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있어 임금-물가 악순환 가능성은 낮다.
- 통화 정책: 인플레이션은 상방 리스크, 고용은 하방 리스크에 직면해 있으며, 이는 이중 목표 간 긴장을 초래한다. 정책 금리는 1년 전보다 중립 수준에 100bp 가까워졌으나, 여전히 제한적이다. 데이터와 경제 전망에 따라 신중히 정책을 조정할 계획이며, 사전 설정된 경로는 없다.
2. 통화 정책 프레임워크 개정
연준은 5년 주기로 통화 정책 프레임워크를 검토하며, 이번에 장기 목표 및 통화 정책 전략에 관한 성명을 개정했다. 주요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다:
- 효과적 하한(ELB) 강조 제거: 과거 ELB 제약에 초점을 맞췄던 언급을 삭제하고, 다양한 경제 상황에서 최대 고용과 물가 안정을 추구하는 전략으로 전환.
- 유연한 인플레이션 타겟팅 복귀: 2020년 채택한 평균 인플레이션 타겟팅(‘보완’ 전략)을 제거하고, 유연한 2% 인플레이션 목표로 회귀. 이는 팬데믹 이후 고인플레이션 상황에서 보완 전략이 적절하지 않았음을 반영.
- 고용 목표 조정: ‘최대 고용에서 부족분’이라는 표현을 삭제하고, 고용이 실시간 추정 최대 고용을 초과하더라도 물가 안정에 리스크가 없으면 선제적 긴축이 불필요하다고 명시. 그러나 노동 시장 과열이나 물가 안정 리스크 시 선제적 대응 가능성을 분명히 했다.
- 균형 접근 강화: 고용과 인플레이션 목표가 상충될 때, 두 목표 간 균형을 추구하며, 목표 이탈 정도와 복귀 시점을 고려해 정책을 결정.
3. 지속된 요소
- 2% 장기 인플레이션 목표 유지: 이는 인플레이션 기대를 고정시키고, 경제 침체 시 통화 정책 여력을 제공.
- 고용 목표의 수치화 거부: 최대 고용은 측정 불가능하고 시간에 따라 변동하므로 수치 목표를 설정하지 않음.
- 5년 주기 검토 유지: 경제 구조 변화와 공공 의견을 반영하기 위해 정기적 검토 지속.
4. 결론
연준은 변화하는 경제 환경에 맞춰 통화 정책 프레임워크를 조정하며, 데이터 기반으로 최대 고용과 물가 안정을 추구한다. 관세, 이민 정책 변화 등 구조적 요인으로 불확실성이 크지만, 인플레이션 기대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고용과 물가 목표 간 균형을 모색할 것이다.
시장이 어떻게 받아들일까요? 연설문이 나오자마자 자산들의 움직임은 금리 인하 + 유동성 확장을 기대하며 움직이고 있는 것 같습니다.
CME 금리 예측
- 현재 금리를 유지할 가능성 8.5%, 현재 금리보다 인하할 가능성 91.5%
- 위 수치는 실시간으로 변화합니다.
📌 어제: 금리 유지 가능성 25% / 금리 인하 가능성 75%
📌 저번주: 금리 유지 가능성 14.6% / 금리 인하 가능성 85.4%
📌 저번달: 금리 유지 가능성 39.6% / 금리 인하 가능성 58%
- 데이터 상으로 적어도 25bp 인하를 한다는 예측이 91.5%로 점쳐지고 있습니다
자산들의 가격 변동
'주식 > 교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 마녀의 날: 위험이자 기회의 순간 - 최근 사례 및 대처법 (7) | 2025.09.19 |
---|---|
M7? PARC의 시대가 온다 - 팔란티어/앱로빈/로빈후드/코인베이스 (7) | 2025.08.24 |
"CPI, PPI, FOMC... 이게 다 뭐야?" 알고 하는 주식 투자! - 지수의 해석, 뜻, 발표 주기 (7) | 2025.08.18 |
주식 고수들(워렌버핏, 캐시우드, 마이클버리)의 포트폴리오 훔쳐보기 - 13F 보고서 (17) | 2025.08.17 |
ETF로 똑똑하게 돈 불리기 - 투자 초보자를 위한 첫걸음 (17) | 2025.08.16 |